대한민국 주소 체계
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, 어떻게 다를까요?

대한민국은 주로 도로명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, 보조적으로 지번 주소도 함께 사용되고 있습니다. ZipSearch는 두 가지 주소 정보를 모두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습니다.

도로명 주소:

도로명 주소는 도로에 이름을 붙이고, 건물에는 도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 "세종대로 209"와 같이 표시됩니다. 이는 위치 찾기의 직관성을 높이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. 2014년부터 전면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.

  • 구성: 특별(광역)시/도 + 시/군/자치구 + 도로명 + 건물번호 + 상세주소(동, 호수 등)
  • 장점: 길 찾기가 용이하고,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주소 체계입니다.

지번 주소:

지번 주소는 토지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입니다. 예를 들어 "청운동 1번지"와 같이 표시됩니다. 오랜 기간 사용되어 왔으나, 도시 개발 등으로 인해 지번이 복잡해져 위치 찾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  • 구성: 특별(광역)시/도 + 시/군/자치구 + 읍/면/동 + 지번 + 상세주소(아파트명, 동, 호수 등)
  • 특징: 토지 중심의 주소 체계로, 등기부등본 등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

현재는 도로명 주소가 법정 주소이며, 지번 주소는 참고용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ZipSearch는 두 주소 체계를 모두 제공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